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6

<학급긍정훈육법> '저는 학생이에요 소속감을 갖고 싶어요' - 어긋난 목표를 파악해서 상처 보듬어주기 2 3. 보복 : 나는 상처받고 있어요. 내 마음을 알아주세요 -대체로 어딘가에서 상처를 받고 있는 학생이 많음 ( 인종차별, 고아원 등) -보복의 악순환을 끊는 것이 최우선 -학생의 처지를 이해하고 격려하는 말하기 -학교 상담사의 지원도 필요 4. 무기력 : 나를 포기하지 마세요 나에게 과제를 조금씩만 주세요 -할 일을 낮은 단계부터 다시 하도록 격려 -좋아하는 것을 찾고 수업에도 적용하도록 함 - 한번에 너무 많은 과제를 제시하면 오히려 무기력이 강화됨 원래는 문제학생을 보았을 때 화를 내거나 행동을 일시적으로 수정하는데 급급했는데 어긋난 목표를 파악한 후에는 아이들의 내면에도 신경을 쓰게되는 것 같다. 아이들의 문제 행동에 맞는 메세지를 파악해서 지도하는 것이 육아, 지도의 핵심이 아닐까? 2020. 2. 19.
<학급긍정훈육법> '저는 학생이에요 소속감을 갖고 싶어요' - 어긋난 목표를 파악해서 상처 보듬어주기 1 학생들의 문제 유형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 지나친 관심끌기, 힘의 오용, 보복, 무기력 네가지를 피상적으로 바라보았을 때는 그저 문제학생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속에 담긴 아이들의 상처와 메세지를 읽을 때 비로소 아이들의 문제 행동을 개선 시킬 수 있다. 1) 지나친 관심끌기 :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관심을 요구하는 스타일 - 건설적인 활동을 통해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도움(의미있는 역할을 맡기기 등) - 자신의 아이디어나 생각을 말할 기회를 줌 - 친절하고 단호함의 조화가 이루어지게 지도함 2) 힘의 오용 : 도와줄게요, 선택권을 주세요 - 긍정적인 힘을 사용하게 함 - 교사가 문제를 해결할 때 도움을 요청한다 -규칙, 일과를 만들 때 긍정적인 힘을 사용할 수 있게 함 - 긍정적 타임 아웃을 활.. 2020. 2. 19.
<학급긍정훈육법> '사람은 기분 좋을 때 더 잘한다' - 내 아이에게 격려하기, 칭찬과 격려의 차이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누군가 잘한다는 말을 해주면 더욱 잘하게 되고, 노력한다. 그런데 칭찬과 격려에는 차이가 있다. 학생, 아이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토대는 '격려'이다 *칭찬과 격려의 차이 칭찬 : 잘하고 성공하는 학생들에게 한정됨 -ex)너 정말 공부를 잘하는구나? 처럼 점수나 성과에만 집중함 격려: 성취결과에 따라 상과없이 노력하는 그 자체를 지지한다. - 이해, 공감, 능력에 대한 믿음을 보여줌 -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아도 가능하다 ex) 이 과정속에서 니가 노력한게 보이는구나! - 구체적이고 사려깊어야 함 ex) 니가 지난번보다 글씨가 덜 기울어진걸 보니 니가 얼마나 신경써서 글씨를 쓰고 있는지 알겠어! 학생들은 보통 가정과 학교에서 보상과 처.. 2020. 2. 19.
<요리레시피> 3분이면 완성하는 초간단 자취생 콩나물국 레시피 [재료] 콩나물 반 봉지, 다진마늘, 국간장, 대파, 다시다, 고춧가루,식초 [만드는법] 1.콩나물을 식초와 함께 물로 깨끗하게 씻는다 2.냄비에 콩나물이 잠길정도로 물을 붓고, 다진마늘 한큰스푼, 고춧가루 2~3스푼, 대파 한가닥, 다시다 한큰스푼을 넣고 끓인다 3. 간을 보면서 국간장을 조금씩 넣어준다 끝 ... 엄청 간단한 초간단 자취생 콩나물국 레시피죠? 저도 자주 해먹어요 콩나물국 만드는법 알고 밥 잘챙겨먹는 자취생 됩시다 초간단 자취생 콩나물국 레시피 2020.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