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해 증권거래소
1990년 11월 26일 세워졌고 상해시 포동(浦東)에 위치해 있음
A주와 B주로 구분되어 있음
A주는 원래 중국 국내 투자자에게만 거래됐었지만 2002년부터 일부 자격을 갖춘 외국인 기관투자자들에게도 개방하면서 거래를 허용함
B주는 중국 내에서 상장되어 중국시장에서 거래되는 외국인 투자전용 주식이다.
거래도 외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
초반에 B주를 발행한 기업도 많지 않은데다가 기업정보를 제공받지 못했던 외국인들이 B주에 선뜻 투자하기를 꺼려함
따라서 2001년부터 중국인들도 B주 주식을 사고 팔 수 있도록 개방됨
상해A지수와 B지수를 통합한 것이 바로 '상해종합지수'
2) 심천 증권거래소
심천 A지수와 B지수가 있고 이를 통합해서 '심천종합지수'라고 함
상해거래소에 비해서는 그 규모는 작은 편임
3) 홍콩 증권거래소
항생지수는 홍콩 최대 은행인 홍콩상해은행의 자회사인 항생은행(恒生銀行)이 산출하는 자가지수
홍콩증권거래소 전체 거래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33개 우량 종목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됨
33개 우량 종목 가운데 중국 내륙 기업들을 기준으로 'H지수'가 산출됨
즉 항생지수는 순수하게 홍콩 주식시장 지수이고 H지수는 홍콩 내 중국 내륙의 주식지수만 가리키는 것
이렇게 중국 증권 관련 지수를 세분화해서 보면 내가 투자한 상품의 추세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1) Tiger차이나 CSI300
-미래에셋에서 판매함
-KODEX가 더 먼저 상장되서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2배 정도)
-수수료 0.63%
-종목은 거의 똑같고 비중만 살짝 다름
-분배금이 나온다는 차이점(주당 100원)
2) KODEX차이나 중국본토 CSI300
-삼성에서 판매
-수수료 0.55%
-아직까지 분배금이 나온적이 없음
#코로나바이러스수혜주
#중국우한폐렴수혜주
#코로나바이러스급등주
#중국우한폐렴급등주
'행복한 햄스터의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임사태'라니? 펀드만 사면 망하는 이유! 차라리 주식을 해라! (0) | 2020.01.27 |
---|---|
반도체 대장주 및 관련주 총정리! 2020년도 반도체 시장에 대비하자 (0) | 2020.01.27 |
<차트 보조지표> RSI 지표만 알면 장기투자,단기투자 최저매수 할 수 있다! (0) | 2020.01.26 |
삼성전자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도 논의, 2020 삼성전자 주가 전망은? (0) | 2020.01.25 |
우한 폐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수혜급등주 및 테마주 소개 (0) | 2020.01.24 |
댓글